|
정청래 의원의 '대세 굳히기'냐, 박찬대 의원의 '판세 뒤집기'냐에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당초 이번 주말로 예정됐던 호남권 현장투표가 수해 복구를 이유로 8월2일로, 10여 일 연기되면서 '물난리 변수'가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도 주목된다.
21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 당대표에 출마한 정청래·박찬대(기호순) 의원은 이날 각각 전남 담양과 광주 서구·광산구 수해 현장을 찾아 복구작업에 일손을 더했다.
당초 26일로 예정됐던 호남권 현장투표가 수해 복구를 이유로 마지막 합동연설회가 열리는 8월2일로 연기됐으나, 호남권 표심이 당락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행보로도 읽힌다.
당대표 선거인단이 대의원 15%, 권리당원 55%, 일반국민 30%로 구성된 가운데 호남 권리당원 수가 35만 명 안팎으로 전체 30%를 점유하고 있어 출마자 입장에선 각별한 공을 들일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정 의원이 일찌감치 호남 표밭 갈이에 나서고, 박 의원이 '호남살이'를 자처한 것도 '호남을 품어야 이긴다'는 정무적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호남 정가에서는 친명(친이재명계) 중에서도 소위 '찐명'으로 통하는 두 의원 간 맞대결을 두고 다양한 표 분석이 나온다.
일단 앞선 충청, 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연거푸 '63대 37' 압승을 거둔 점을 들어 "정 의원이 초반 대세를 굳힌 것 같다" "운동장이 이미 많이 기울었다"는 평가다.
반면 "박 의원 우세지역인 수도권, 호남이 남아 있어 골든크로스가 가능하다", "충청과 영남 권리당원은 20만 명으로, 점유율이 20%를 밑돌아 대세론은 이르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전망이 엇갈리면서 "예측 불허", "박빙"을 예상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전남의 한 중진 의원은 "중립"을 전제한 뒤 "이재명 정권 성공론과 일극 체제에 대한 당내 견제론이 병존하는 것 같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호남권 투표가 수해로 연기되면서 당권 경쟁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이번 '수해 변수'가 누구에게 유리한 결과를 낳을 지도 요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정 의원 측 관계자는 "충청과 영남에서의 높은 투표율은 정청래식 강력한 개혁에 대한 열망으로 분석된다"며 "호남은 당심과 민심의 괴리가 크지 않아 투표 일정 변경에도 불구, 대세 유지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박 의원 측은 "지금까지 누적 득표율과 득표수 모두 점유율이 높지 않아 당락을 가르거나 대세를 결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이재명 정부 성공 파트너인 박찬대 의원에게 표가 모아질 경우 뒤집기가 현실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