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닌 곳도 월세 300만원"…월세 상승세 서울 전역 확산
검색 입력폼
경제

"강남 아닌 곳도 월세 300만원"…월세 상승세 서울 전역 확산

서울 아파트 月 1000만원 넘는 초고가 거래 잇따라
초고가 월세 강남→한강벨트→노도강으로 확산세

[나이스데이] 서울 주택임대 시장에서 초고가 월세가 확산하고 있다. 강남권에서 월세 4000만원이 넘는 사례가 나오고,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외곽지역에서 월세 300만원에 달하는 계약이 체결되는 월세 상승세가 서울 전역으로 퍼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강화하는 대책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전셋값이 치솟고, 전세 물건이 급감하면서 주택 임대 수요가 보증부 월세나 반전세로 대거 이동하면서 임차인들의 주거비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월세 1000만원을 넘는 초고가 월세 거래가 잇따르고 있다. 강남권에서 시작된 현상이 최근 용산·성동 등 한강벨트를 거쳐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아파트 중 월세 1000만원 이상으로 계약된 건수는 194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조건의 연간 거래가 203건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고액 월세 거래가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비싼 월세 거래는 지난 6월 성동구 성수동의 고급 주상복합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로 보증금 3억원에 월세가 4000만원이었다. 지난해 최고가였던 한남동 '나인원한남'의 월세와 비슷한 수준이다. 월세 3000만원 이상 계약된 아파트도 지난해 3곳에서 올해는 5곳으로 증가했다.

고액 월세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올해 월세 1000만원 이상 거래가 발생한 곳은 ▲용산구 58건 ▲서초구 50건 ▲성동구 37건 ▲강남구 34건 ▲영등포구 8건 ▲중구 2건 ▲금천·서대문·송파·양천·종로구 각 1건으로 집계됐다.

주택임대 시장에서 월세 비중도 더 커졌다. 지난 10월 기준 전체 임대차 계약 21만 1304건 중 월세 거래는 9만 1312건으로 43%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42%였던 점을 고려하면 전세 대신 월세를 선택하는 흐름이 뚜렷해진 것이다.

최근 들어 월세 1000만원 이상 거래는 증가세가 가팔라졌다. 지난 9월 한 달 동안 서울에서 체결된 1000만원 이상 아파트 월세는 25건으로, 전월(21건)보다 19% 증가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된 이후에도 20건 이상 거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성수동1가 '트리마제' 전용 84㎡는 보증금 1억원, 월세 1200만원에 계약됐고, 한남동 '르가든더메인한남' 전용 222㎡는 보증금 40억원, 월세 1400만원에 거래됐다.

또 서울 외곽 지역의 월세 상승세도 심상치 않다. 노원구 중계동 '건영3차' 전용 84㎡는 지난달 21일 보증금 6000만원, 월세 300만원에 거래됐다. 또 중계동 '롯데우성' 전용 101㎡는 보증금 1억원, 월세 250만원에 거래가 성사됐다.

전문가들은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더욱 빨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고, 입주 물량 감소까지 더해져 전·월세 물건이 빠른 속도로 감소할 것"이라며 "전세 시장이 축소되고, 내년부터 입주 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세 일부가 월세나 보증부 월세로 전환되고, 주거비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