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 농작물 피해 여의도 '100배'…수급 불안 최소화 총력
검색 입력폼
전국

집중호우 농작물 피해 여의도 '100배'…수급 불안 최소화 총력

농식품부 집계 전국 2만9111㏊ 농작물 침수
충남 전체 59%…축구장 약 2만3398개 규모
"벼 퇴수 완료시 생육 차질 없어…영향 제한적"

[나이스데이]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여의도 면적의 약 100배에 해당하는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적 농작물 산지인 충남, 전남, 경남 등에 피해가 집중된 가운데 정부는 품목별 피해 양상을 파악하고 수급 불안 최소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닷새간 이어진 집중호우로 전국 2만9111㏊(헥타르)의 농작물이 물에 잠긴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여의도 면적(약 290㏊)의 100배, 서울 전체 면적(6만500㏊)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전체 피해의 98%가 충남·전남·경남 등 3개 지역에 집중됐다.

이 중 충남이 1만6710㏊(전체의 59%)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충남에서만 축구장 약 2만3398개 규모의 농경지가 물에 잠긴 것이다.

충남은 쌀과 사과, 배, 마늘, 포도 등 주력 작물의 최대 산지로 꼽힌다. 충남 서산은 전국 최대 마늘 주산지 중 하나로 꼽히며, 감자와 양파, 고추 등도 재배된다.

피해 작물 가운데서는 벼가 2만5167㏊(전체의 86%)로 가장 많았다. 특히 서해안 벼 재배지가 밀집한 충남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이외에도 논콩(2075.8㏊), 고추(353.0㏊), 딸기(163.0㏊), 멜론(142.0㏊), 수박(136.0㏊), 대파(132.2㏊) 등 주요 채소와 과채류 전반에 걸쳐 침수 피해가 확인됐다.

정부는 호우 피해 규모를 집계하는 한편 품목별 피해 양상을 파악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가장 피해 규모가 큰 벼는 퇴수가 완료되면 생육에는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먼저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가 많은 오이, 애호박, 청양고추, 토마토 등 과채류는 8월 주 출하지인 강원 지역에는 피해가 없어 이번 집중호우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모종을 기르는 단계에서 피해를 입은 딸기는 9월 정식에 대비해 피해가 없는 지역에서 모종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박과 멜론의 경우는 부여(수박), 담양·곡성(멜론) 등 침수 피해와 제철 과일 수요 등이 겹쳐 당분간 전·평년보다 높은 가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지자체, 농협, 자조금단체 등을 통해 침수 피해 시설하우스 등에 신속한 퇴수 조치, 침수 부위 세척 및 방제 약제 살포 등을 지시했고 가격이 상승한 품목은 할인지원을 통해 소비자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충남 예산·아산 지역 등이 주산지인 쪽파는 침수지역 퇴수가 이뤄지면 수확이 가능하지만 수확 작업 여건이 나빠져 당분간 공급량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김장용 쪽파는 8월에 파종하므로 김장철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돤다. 현재 침수 피해 지역은 필요시 지자체·농협 등과 재파종 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축산 피해도 전국적으로 속출했다. 한우 600두, 젖소 264두, 돼지 775두, 닭 147만9340수, 오리 15만1100수, 꿀벌 2391군이 폐사하거나 사육 환경이 훼손됐다.

피해 지역 대부분이 폭우에 따른 축사 침수, 사료 저장고 유실, 전기차단 등에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충남은 가축 피해만 96만 마리로 전체의 53.8%에 달한다. 전남은 49만4000마리, 경남은 26만5000마리 수준으로, 세 지역이 전국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농식품부 측은 "가축 중 피해 규모가 가장 큰 가금류는 복날 등 계절적인 수요 증가에 대비해 이미 6월에 병아리 입식량을 3.6% 늘리고, 육용종계의 생산 주령을 연장(64주령→제한 없음)한 바 있어 폭우·폭염으로 인한 가금류 피해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가축전염병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농장 주변 오염 물질 제거, 사육시설 세척 및 건조, 소독 등 사양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