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유럽연합(EU)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국경을 다국적 군이 지키는 한국식 완충지대가 이들의 대화의 중심으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라스탐파는 이미 영국과 프랑스가 우크라이나 서부에 군을 파견할 의사를 표명했기 때문에 이는 이미 "단순한 이론적 시나리오가 아니다"고 짚었다.
다만 미국의 직간접적인 지원이 없다면 합의에 도달한다 하더라도 신뢰성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한반도의 사례가 이 미국과 유럽, 우크라이나 프로젝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한반도에서는 70년 이상 무장 휴전 상태가 유지돼 왔다“고 짚었다. 이를 복제하기 위해서는 "동유럽에 수백㎞에 달하는 안전 통로를 설립하고 다국적 관측소와 교전 규칙을 협상 테이블에서 합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만일 우크라이나 국경에 완충지대가 생기면 "군사적으로 보호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디지털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감시)되는 지역이 될 것"이라고 라스탐파는 전했다.
한반도식 완충지대와 우크라이나 모델과 차이점은 "영구적인 미국기지는 없지만 유럽 군대가 현지에 배치돼 미국이 기술을 제공하는 혼합형 배치"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확장에 대한 러시아의 반대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고 지상에 필요한 인력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매체는 분석했다.
앞서 지난 18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젤렌스키 대통령, 7명의 유럽 주요 정상들과 함께 회의를 갖고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우크라이나 안보보장을 위해 미군을 투입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유럽 국가들이 있고, 그들이 전면에 나설 것이다"며 프랑스와 독일, 영국 등이 지상군을 파병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