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미정상 관계 나쁘지 않아…비핵화 논의, 상대 우롱"
검색 입력폼
탑뉴스

김여정 "북미정상 관계 나쁘지 않아…비핵화 논의, 상대 우롱"

29일 담화…"핵보유국 지위 부정 시도 철저히 배격"
"미, 현실 받아들이지 못하면 만남은 미국만의 희망"
통일부 "북미회담 재개 적극 지지…촉진 노력 추진"

[나이스데이]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한 북미 협상은 성사될 수 없다고 29일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 부부장은 이날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조미(북미) 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다' 제목의 담화를 공개했다.

그는 최근 미국 백악관 당국자의 발언을 언급하며 "우리는 지난 조미대화에 대한 미국 측의 일방적 평가에 그 어떤 의미도 부여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백악관 당국자는 25일(현지시간) 한국 언론 질의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과거 세 차례 대면을 언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김 위원장과 소통하는 데 열려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부장은 "다만 지금 2025년은 2018년이나 2019년이 아니라는 데 대해서는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우리 국가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그 능력에 있어서 또한 지정학적 환경도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엄연한 사실에 대한 인정은 앞으로의 모든 것을 예측하고 사고해 보는 데서 전제로 되여야 할 것"이라며 "그 누구도 현실을 부정할수 없으며 착각하지도 말아야 한다"고 했다.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핵무력 고도화를 헌법에 명시할 정도로 핵능력을 강화하고, 북러관계를 동맹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을 염두에 둔 표현으로 해석된다.

그는 "우리 국가의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철저히 배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자기의 현 국가적 지위를 수호함에 있어서 그 어떤 선택안에도 열려있다"고 밝혔다.

이어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할 것이며 그렇다면 그러한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며 "하지만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실현 목적과 한 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상대방에 대한 우롱으로 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패한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통일부는 담화와 관련해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왔다"고 했다.

아울러 "정부는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해 북미회담 재개를 적극 지지한다"며 "앞으로 평화 분위기 안에서 남북 간 신뢰를 회복하고 북미회담 재개를 촉진하는 여건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노력을 흔들림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담화는 북미 정상 간 친분관계를 인정하면서도, 미국이 비핵화 원칙을 고수하는 한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강조한 것이다.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전제로 미국과 비핵화가 아닌 핵군축 협상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담화는 김 부부장이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이재명 정부 출범 54일 만에 대북정책에 대해 첫 공식 입장을 낸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대남에 이어 대미 담화를 연속적으로 내며 중장기적으로 한미 반응을 탐색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