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국무회의에서 중대재해 근절대책 등을 주제로 1시간20분간 토론을 진행했다. 국무회의 참석자들의 입장과 국민의례, 신임 국무위원들의 인사, 그리고 이 대통령의 모두발언과 토론 등이 주요 방송과 유튜브 등을 통해 실시간 방송됐다.
대통령실은 공지를 통해 "국민의 알 권리 확대와 투명한 국정 운영을 위해 국무회의 내용 가운데 공개 가능한 부분은 국민께 알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국무회의가 생중계된 건 역대 정부 사상 처음"이라며 "대통령은 회의에 앞서 중대재해 근절대책은 국민 모두에 가감 없이 알려야 할 사항이라며 토론 과정을 여과 없이 생중계하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 내용은 가급적 폭넓게 국민에게 알려야 한단 뜻을 밝힌 바 있다"며 "일부에서 녹화와 부분 공개하란 의견도 있었지만 국민에 공개하라고 지시했다"고 했다.
이 수석은 "이날 심층 토의 생중계는 일단 일회성 조치지만 앞으로 여러 상황을 고려해 공개 횟수와 범위를 확대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외교·안보 현안 토론도 공개하느냐는 물음에는 "안보 이슈는 공개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 같다"며 "어디까지 얼마나 어떤 횟수로 할지는 앞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어야 한다며 부처별 주요 현안과 개혁과제는 앞으로도 국무회의에서 토론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와 함께 필요시 국무회의를 주 1회를 2회 이상 할 수 있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부처별 칸막이가 돼 있어서 직접 관련 없어 보여도 부처들이 얘기 나누는 게 중요할 것 같다"며 "산재사고만 해도 노동부 현안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전 부처가 나서서 관계된 건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무회의를 일주일에 한 번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몇 번 더할 수 있다"며 부처 업무보고와 국무회의 토론을 조율해서 정리해달라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