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북미회담 무산 후 신규 대북제재…자금세탁 겨냥 北사이버범죄 돈세탁 관여 개인 8명·기관 2곳 제재 뉴시스 |
| 2025년 11월 05일(수) 12:01 |
|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날 사이버 범죄와 정보기술(IT) 노동자 사기 등 북한의 여러 불법적인 계획에서 유래한 자금 세탁에 관여한 혐의로 개인 8명과 기관 2곳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존 K. 헐리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북한 정권이 후원하는 해커들이 정권의 핵무기 프로그램 자금 조달을 위해 돈을 훔치고 세탁하고 있다"며 "이들은 북한의 무기 개발용 수익을 창출해 미국과 국가 안보를 직접적으로 위협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무부는 이러한 계획의 배후 조력자와 지원자들을 계속 추적해 북한의 불법 수익원을 차단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북한 은행가인 장국철, 호종선은 이미 미국 제재 대상인 1신용은행을 대신해 530만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등 자금을 관리한 혐의로 제재 명단에 올랐다. 해당 자금 중 일부는 과거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과 IT 노동자 사기와 연관될 수 있다고 재무부는 설명했다.
북한 IT 업체인 조선만경대컴퓨터기술주식회사는 중국 선양과 단둥 등 최소 두곳에서 IT노동자 파견단을 운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사 대표인 유용수도 함께 명단에 등재됐다.
이 밖에 북한 금융기관인 류정신용은행,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북한 금융기관을 대표하고 있는 호영철, 한홍길, 정성혁, 채천범, 리진혁은 기존 대북제재 우회 혐의로 제재대상으로 지정됐다.
재무부 제재 대상이 되면 미국에서의 경제활동이나 미국이 관련된 모든 경제활동이 사실상 막힌다. 제재 대상과 거래한 사실이 드러날 경우 마찬가지로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제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이후 이뤄져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에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 의사가 있으며, 대북 제재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도 밝혔으나 북한은 일절 응답하지 않았고 회담은 성사되지 않았다.
지난 3일에는 미국 국무부가 7척의 선박이 북한산 석탄과 철강을 불법으로 중국에 수출했다며, 해당 선박들에 대한 유엔 제재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