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철강산업 위기 대응 위해 전국 철강도시와 머리 맞대

포항·당진과 ‘긴급 영상회의’ 개최… 범정부 차원 대책 추진 건의에 뜻 모아

손태성 기자 sts8000@naver.com
2025년 11월 04일(화) 14:12
광양시, 철강산업 위기 대응 위해 전국 철강도시와 머리 맞대 - 투자경제과(영상회의, 김정완 광양부시장)
[나이스데이]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철강이 협상 대상에서 제외돼 고율 관세(50%)가 유지된 가운데, 철강산업 중심 도시인 광양·포항·당진이 머리를 맞대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

광양시는 11월 3일 열린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에서 세 도시가 각 지역의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산업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책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김정완 광양부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석해 최근 철강이 한·미 관세협상 대상에서 제외돼 고율 관세가 유지된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 대응책을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철강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이자 제조강국의 근간이며, 포항·광양·당진이 국내 조강 생산의 93%를 차지하는 핵심 거점도시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 이번 고율 관세 조치가 지역경제뿐 아니라 국가 전체 제조산업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논의 결과, 세 도시는 ▲대미 후속협상을 통한 철강 품목 재논의 촉구 ▲광양·당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확대 지정 ▲포항·광양·당진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조기 지정 ▲‘K-Steel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 조속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의 지역 맞춤형 실효성 강화 ▲4차 배출권 허용총량 완화 등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건의하기로 뜻을 모았다.

아울러 지자체·기업·상공회의소가 함께 참여하는 국회 철강포럼 공동 개최를 추진해 철강산업의 생존 해법을 모색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촉구하기로 했다.

김정완 광양부시장은 “철강산업은 광양경제의 중추이자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심장”이라고 역설하며, “이번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이 함께 협력의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광양시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확정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를 위해 전라남도와 국회, 지역 상공회의소 등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양시는 지난 9월 말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며, 10월 21일 현지 실사를 완료하고 지정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손태성 기자 sts8000@naver.com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www.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nice-day.co.kr/article.php?aid=12293620473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05일 03:5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