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시장, 정부 지원책에 미분양 해소 기대감 수도권 분양실적 7.4% 감소…지방은 44.7% 급감 뉴시스 |
2025년 09월 11일(목) 11:07 |
|
공급 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정부가 지방의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원책을 내놓고 있어 미분양 리스크가 다소 완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1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지방의 주택 인허가와 착공, 분양 물량이 모두 전년 대비 급감했다. 특히 수요가 뒷받침되는 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물량 감소폭이 컸다.
올해 1~7월까지 수도권 주택 인허가 실적은 8만3838호로 전년 동기(6만9467호) 대비 20.7%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지방 인허가는 7만733호로 전년 동기(10만2210호) 대비 30.8% 감소했다.
착공 실적도 수도권은 전년 동기(7만9336호) 대비 3.8% 감소한 7만6339호로 집계됐지만, 지방은 전년 동기(6만3937호) 대비 24.6% 줄어든 4만8208호로 나타났다.
특히 분양 실적은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화됐다. 올해 수도권 누적 분양 실적은 5만2925호로, 전년 동기(5만7173호) 대비 7.4% 감소에 그쳤지만, 지방은 같은 기간 전년 대비 44.7% 급감한 3만7792호로 집계됐다.
올해 지방에서는 경기 침체와 미분양 증가 우려로 분양을 연기하는 단지들이 속출했다.
미분양 주택은 7월 말 기준 지방에 78.7%가 쌓여 있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의 지방 비중은 83.5%에 달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주택 인허가 실적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 지방 주택경기 부진과 자금조달 여건 악화가 맞물리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경기 위축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방 건설경기 침체로 중견·중소 건설사의 줄도산이 현실화하고, 내수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치자 정부는 지방 건설경기 회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 14일에는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 방안'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구입에 대한 세 부담을 완화하고, 임대주택에 대한 세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공사비 현실화, 자재 수급 안정, 숙련인력 확충, 스마트 건설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건설업계의 비용·인력 부담을 완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책도 마련했다.
지방의 공급 물량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지원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향후 미분양 물량이 점차 감소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월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3.1포인트(p) 하락한 93.9로 나타났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지난 7월부터 석 달 연속 기준선(100.0)보다 낮은 90선을 기록하며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고 부연구위원은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을 통해 하반기 내 지방 부동산 수요를 보완하는 지원 정책이 시행될 예정"이라며 "향후 미분양 물량은 점진적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