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더 오를 것…노란봉투법·산재 엄벌 기조 영향"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자 대상 설문조사

뉴시스
2025년 09월 09일(화) 13:27
[나이스데이] 이달 아파트 분양가격 전망지수가 원자재 가격 불안과 인건비 상승 우려 속에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분양물량 전망은 늘었지만 여전히 부진했고, 미분양 전망은 정부의 지방 건설투자 대책 기대감 속에 개선되는 등 시장 전망이 엇갈린 모습이다.

9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4.5p 상승한 104.5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최근 원자재 가격 불안 추세와 더불어 사업자들이 노란봉투법 통과와 산재 엄벌 기조로 인해 공기 지연과 실질적인 인건비 증가를 우려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1.8p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선(100.0)보다 낮은 89.1로 집계됐다.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3.1p 하락한 93.9로 나타났다. 올해 1~7월 비수도권 분양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44.7% 줄어드는 등 공급 감소가 두드러진 가운데, 정부가 발표한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에 따라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보인다.

한편,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 지수는 전국 평균 0.5p 상승한 75.6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2.0p(81.4→79.4) 하락 전망됐고, 비수도권은 1.1p(73.7→74.8) 상승 전망됐다.

수도권에서 서울(88.6→97.2, 8.6p↑), 경기(78.8→79.4, 0.6p↑)는 상승 전망됐고, 인천(76.9→61.5, 15.4p↓)은 큰 폭으로 하락 전망됐다.

연구원은 "수도권 주담대 규제로 주택 매매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옥석 가리기가 심화되면서, 입지 경쟁력이 떨어지는 수도권 외곽 지역은 여전히 높은 분양가와 금리 부담으로 인해 미분양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반면, 분양물량이 부족한 서울 핵심 지역은 풍부한 유동성을 보유한 수요가 집중돼 청약 경쟁률이 높아진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www.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nice-day.co.kr/article.php?aid=11456555163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0일 03:4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