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철 다가오는데…가을장마·이상기후에 배추·무 출하 차질 우려
검색 입력폼
전국

김장철 다가오는데…가을장마·이상기후에 배추·무 출하 차질 우려

배추·무 재배면적 확대에도 기상 변수 부담
할인·계약재배·비축 등 농가·소비자 동시 지원
안정적 김장철 수급과 물가 부담 완화 목표

[나이스데이] 이례적인 가을장마와 이상기후가 지속되면서 농작물 피해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다가오는 김장철을 앞두고 농가 피해지원과 수급 안정, 소비자 물가부담 완화 방안을 동시에 고심해야 하는 상황이다.

1일 관계당국 등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초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 발표를 앞두고 막바지 검토 중이다.

대책에는 배추·무 등 주요 김장재료 공급 확대와 할인 지원 등 소비자 부담 완화 방안이 포함될 전망이다.

일단 대표 김장재료인 배추와 무 가격은 안정적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배추 1포기 소매가격은 4015원으로 1년 전보다 45.9% 낮다. 무 역시 1개에 1927원으로 전년 대비 45.3%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평년 대비로는 각각 20.1%, 30.3% 낮은 수준이다.

다만 문제는 이상기후다. 정부와 농가의 방제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인 가을장마로 병해가 급속도로 확산해 농작물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최근 가을배추 주산지인 해남을 비롯한 전남 일부지역과 충북 충주, 충남 홍성 등의 배추·무 농가에서 무름병과 뿌리썩음병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배추 무름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지제부·줄기부터 시작해 잎·결구까지 물러 썩고 악취가 나며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다.

수확량 감소와 품질 저하로 출하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을 요청하는 농가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가을장마로 인한 무름병이 확산할 경우 김장철 수요 증가와 맞물려 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

최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가을배추·무 재배면적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가을배추와 무 재배면적이 모두 증가하면서 수급 불안 해소 기대감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이상기후 여파에 따라 수급 안정을 단언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정부는 일단 이상기상으로 인한 수급 불안에 대비해 계약재배 확대와 정부 수매비축 등 출하조절용 물량을 확보해 공급부족 시 도매시장과 대형수요처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형 유통업체와 협력한 할인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등으로 소비자 물가 부담 완화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이번 대책은 공급 안정, 농가 지원, 소비자 보호를 동시에 아우르는 '삼각 축'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이례적 기후 상황 속에서도 정책적 대응을 통해 가격 급등과 재료 품귀 사태를 예방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김장재료의 공급확대와 할인 지원 등 소비자 부담 완화 방안을 포함한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을 11월초 추진할 계획"이라며 "방제약제를 공급하는 등 생육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품목별로 수급상황 변동 등 비상 상황 발생에 대비해 가용할 수 있는 수단을 미리 마련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