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정부는 소금을 비롯한 수산물을 생산·유통하기 전에는 방사능 검사를 거치고 있으며 중국, 대만 등 인접 국가는 일본산 식품 수입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따라서 비과학적인 불안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8일 해양수산부와 도쿄전력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달 25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일본명 : 처리수) 7900톤(t)을 해양에 방류했다. 이는 2023년 8월 처음 원전 오염수를 방류한 후 14번째로, 지금까지 방류된 양은 누적 11만t에 달한다.
일본 정부는 2025년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에 총 7차례에 걸쳐 약 5만4600t의 오염수를 방류할 예정이다. 지난 14차 방류는 이번 회계연도 세 번째다.
도쿄전력은 방류 후 2037년 이후 핵연료 잔해(데브리)를 본격 반출할 계획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녹아내린 연료 데브리는 약 880t에 이른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제로 반출된 양은 0.9g에 불과하다. 로드맵에 따르면 2041~2051년에는 폐로를 완료할 방침이다.
오염수에는 삼중수소를 비롯한 60여 가지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해수로 100배 이상 희석한 후 삼중수소 농도가 리터당 1500베크렐(일본 정부 기준의 40분의 1) 이하인 것을 확인하고 바다로 방류하고 있어 위험성이 크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쿄전력이 오염수 방출구 인근에서 채취한 바닷물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1ℓ 당 최대 56㏃ 트리튬이 검출됐다. 산케이 등 외신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방류 중단 기준 700㏃,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 1만㏃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물의 생산·유통 전 단계에 걸쳐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2년간 일본의 원전오염수 방출 이후는 물론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도 국내 생산·유통되는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 결과에서 안전기준을 벗어난 부적합 사례가 단 한 건도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해수부는 지난해 천일염 3336건을 포함해 총 1만9386건의 생산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으며 검사 결과 이상 없었다고 밝혔다.
김성범 해수부 차관은 지난 3일 브리핑에서 생산·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수입 수산물 검사 및 모니터링, 선박평형수,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에서 모두 '적합'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해양방사능 긴급조사에서도 "세슘 134가 1ℓ 당 0.064㏃ 미만~0.092㏃ 미만, 세슘 137은 0.071㏃~0.092㏃ 미만, 삼중수소는 6.3㏃~6.6㏃ 미만으로 나타났다"며 "세계보건기구(WHO)의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본에서 수입한 식품에 대해 매일 방사능 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방사능 방류 이후 수입 식품의 부적합율은 0.059% 수준이다.
우리 정부는 일본과 가장 인접한 국가인 만큼 후쿠시마와 인근 8개 현의 수산물 등에 대해 수입 규제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규제를 완화해줄 것을 우리 정부에 요구했지만 한일 정상회담 의제에서는 제외됐다.
다만 최근에는 동아시아에 인접한 다른 국가에서 규제 완화 결정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6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조건부로 재개했다. 후쿠시마현·군마현·도치기현·이바라키현·미야기현·니가타현·나가노현·사이타마현·도쿄도·지바현 등 2023년 8월 이전에 수입이 금지됐던 10개 도·현은 제외다. 대만 정부는 지난 1일 2011년 사고 이후 후쿠시마 등 5개 현을 대상으로 유지했던 일본산 식품 수입 규제를 전면 폐지하겠다고 발표했다.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TFDA)는 규제 폐지 이유에 대해 "과학적 증거와 국제 기준에 따라 일본산 식품은 정상 관리 조치로 되돌려야 한다"며 "14년간 총 26만3000여 건의 일본산 식품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으나 모두 기준을 충족했고 부적합률은 0%였다"며 "추가적인 방사능 노출 위험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