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저학력 청년은 취업·결혼도 늦어…"정책 지원 필요"
검색 입력폼
탑뉴스

빈곤·저학력 청년은 취업·결혼도 늦어…"정책 지원 필요"

[나이스데이] 청년들의 졸업·취업·분가·결혼 등 주요 생애사 이행 시기에 빈곤 경험과 학력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개한 '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의 빈곤 경험과 저학력은 4가지 생애사(졸업·취업·분가·결혼)의 이행 시기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진은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5년)부터 18차년도(2022년)까지 조사에 참여한 24~39세 응답자 가운데 관측 자료가 남아 있는 약 1200명을 분석에 활용했다.

이후 각 개인의 생애를 20대, 30대 초반, 30대 후반으로 구분한 뒤, 40세 시점의 삶의 질 지표를 산출했다.

조사 결과, 빈곤 경험이 있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의 4가지 생애사를 모두 이행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39세 기준 빈곤을 겪지 않은 청년이 4가지를 모두 이행한 비율은 48.69%였지만, 빈곤한 청년은 35.25%로 확연히 낮았다. 전체 평균은 47.04%였다.

또 39세에 졸업·취업은 했지만 분가와 결혼을 하지 못한 비율도 빈곤한 집단이 16.03%, 비(非)빈곤 집단이 12.33%로 격차가 나타났다.

졸업 이후 취업·분가·결혼을 모두 이행하지 못한 비율도 차이가 뚜렷했다. 빈곤 집단은 25세 기준 25.64%였으며 39세에도 10.90%나 됐다. 다만 빈곤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25세 기준 8.10%였고, 39세 기준으로는는 4.00% 미만으로 크게 줄었다.

학력 역시 생애사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고졸 이하 집단은 같은 연령대라 하더라도 대졸 이상 집단에 4단계를 모두 경험한 비율이 낮았다.

이어 "교육·노동·분가·결혼 등의 생애사 단계별 이행이 정체되면 부정적 효과가 누적될 수 있기 때문에, 가난하다는 점이 이행에 제약이 되지 않도록 초기 청년을 위한 조기 개입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행기 청년이 필요로 하는 욕구를 기반으로 금융·사회서비스·훈련 등을 지원하는 '청년 배낭 계좌'를 설립하고, 참여 소득형 청년 일자리 보장제를 실시해 돌봄·기후 대응 등 사회적으로 가치가 있지만 시장이 창출할 수 없는 일자리를 정부가 청년에게 제공하자"라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