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노동계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 및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과 오찬 회동을 가진다.
이 대통령이 노동계와 공식적으로 만나는 건 취임 이후 처음이다.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기 전인 지난 2월 양대노총을 방문한 적은 있지만, 취임 후에는 김민석 국무총리와 김 장관만 각각 한 차례씩 노총을 찾았다.
이번 회동에서는 내년 3월 시행 예정인 노란봉투법의 후속 조치를 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노동부는 현장지원TF를 구성하고 경영계·노동계와 상설 소통창구를 통해 구체적인 지침 등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주4.5일제, 정년 65세 법제화 등 주요 노동 현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사회적 대화'도 논의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정부는 중층적 사회적 대화 복원을 통해 주요 현안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한국노총은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참여하고 있지만, 민주노총은 1999년 경사노위 전신인 노사정위원회 탈퇴 이후 26년간 공식적인 노사정 사회적 대화에는 불참해왔다.
한편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중앙위원회를 열어 국회 주도 사회적 대화 참여 여부를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참여가 결정되면 이 대통령과의 오찬에서도 국회 사회적 대화 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노정교섭을 정례화하자는 내용을 주로 얘기할 것 같다"며 "정례적으로 안건을 가지고 협의해나가자는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