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검수사의 사각지대, 지자체의 내란가담 행적을 반드시 파헤쳐야 한다"며 "내란의밤 당시 광역지자체장들의 내란가담 여부는 특검수사의 사각지대"라고 말했다.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 김진태 강원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등 광역지자체 다수가 계엄 당일 청사를 폐쇄하고, 출입을 통제하고, 비상간부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그러나 단 한번도 이들의 내란동조 행위에 대해 수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특검은 신속하게 수사를 개시할 것을 촉구한다"며 "민주당은 3대특검대응특위 차원에서 광역지자체 내란가담 여부 진상규명을 위한 자료요구와 현장검증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같은 날 김병민 정무부시장 명의 입장문을 내어 "서울시가 청사를 폐쇄하지 않았고 계엄에 동조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거듭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청사를 폐쇄했다는 가짜뉴스를 유포한 전현희 위원장은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했다.
김 부시장은 "지난주 김병주 의원에 이어 금일 전현희 위원장까지 서울시가 청사를 폐쇄하고 출입은 통제하고 비상간부회의를 소집했다고 주장했다"며 "거듭 밝히지만 서울시는 청사를 폐쇄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
이어 "오 시장은 시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즉각 비상간부회의를 소집했고 계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지체 없이 발표했다"며 "서울시는 이미 국회 자료 제출 등을 통해 계엄 당일 한 점 의혹도 없음을 증명했다"고 덧붙였다.
유정복 시장도 페이스북에 "인천시는 비상계엄과 관련해 청사를 폐쇄하며 출입통제를 진행한 적이 전혀 없다"며 "국가 비상사태인만큼 시민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최소한의 주요 직위자들과 함께 긴급회의를 열어 상황을 확인하는 절차는 시장으로서 지극히 당연하고 합리적인 판단과 대응이었다"고 썼다.
이어 "지금 민주당이 계속해서 주장하는 지방정부의 계엄 동조가 '아니면 말고'식의 억측으로 확인되면 그에 대한 책임은 지실 의향이 있느냐"며 "단호히 경고한다. 국회를 넘어 이제 지방정부까지 근거없이 탄압하려는 정치적 작업질을 멈추라"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