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지난 2일 정청래 당 대표 체제 출범 후 광주·전남에서는 재선 민형배(광산을) 의원이 당내 검찰개혁특별위원장에, 초선 권향엽(순천·광양·곡성·구례을) 의원이 대변인에 각각 선임됐다.
사무총장과 정책위 의장, 원내대표 등 당3역이나 선출직 최고위원, 당대표 비서실장 등에서는 광주·전남 출신 인사들의 기근 현상이 뚜렷했으나 '검찰 개혁의 메스'와 '거대 여당의 입' 역할을 맡게 된 점은 의미가 적지않다는 해석이다.
자연스레 관심사는 호남몫의 지명직 최고위원에 쏠린다.
'당원 주권주의'를 내건 정 대표는 전당대회 과정에서 전체 권리당원의 33%를 점유한 호남에 대한 배려를 수차례 강조하며 "지명직 최고위원은 호남 출신 인사가 1순위"라고 강조했다. 경쟁자였던 박찬대 의원 역시 "호남 최고위원 발탁"을 공언하기도 했다.
호남 최고위원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지역 정가에서는 하마평이 나돌고 있다. 특히 '지명직 최고위원 2명 중 1명은 평당원으로 하겠다'는 정 대표의 공언에 인지도 높은 스타 평당원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지역정가에서는 광주·전남 전·현직 의원은 물론 노무현·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인사, 시민단체 대표 출신 등이 자천타천 거론되고 있다. 정 대표와의 인연도 각별한 인사들이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내년 지방선거 광역·기초단체장 출마를 준비 중이어서 규정상 이르면 올해 10월 사퇴할 수 밖에 없다. 최악의 경우 '2∼3개월 짜리 최고위원'이 될 수도 있어 후보군에 포함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인사들 중 발탁될 가능성이 높아 "인력풀이 여유롭진 않다"는 말도 일각에선 나온다.
민주당 텃밭 호남에서는 수도권 다음으로 많은 권리당원(36만명·전체 33%)을 보유하고도 전북 한병도, 전남 서삼석, 광주 송갑석 의원이 연거푸 선출직 최고위원에 실패했고 이후 임선숙(2022년 9월), 송갑석(2023년 3월), 주철현(2024년 9월) 의원이 호남몫의 지명직 최고위원에 올랐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불법 비상계엄을 막고 국민주권정부 탄생에 결정적인 힘을 실은 호남의 발전을 위해선 '최고위원 지렛대'가 중요하다"며 "호남 최고위원은 여당지도부와 대통령실, 정부부처와 지자체간 연결고리 이상의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